-
- [기사]제44회 외솔상 로스 킹 수상(22.10.11)
- Professor Ross King, Chair of Executive Committee of the Inter-University Consortium, win the Oesol Award(외솔상 실천부문). Congratulations ! Dr. Ross King was the first non-Korean to win the Oesol Prize! This prize recognizes Dr. King's contribu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especially towards his efforts in the Korean Language Village at the Concordia Language Villages. 기사보기: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75412
-
- 작성일 2023-02-20
- 조회수 352
- 첨부파일 (0)
-
- [성균웹진] Seya Fadullon(21년 가을학기 참여연구자) 성균웹진 인터뷰(21.10.15)
- 2021년 가을학기 참여연구자인 Seya Fadullon의 인터뷰가 실린 성균웹진(477호)이 발행되었습니다. <기사(일부내용 발췌)> ▶성균관대학교 IUC (성균관대학교 국제한국학센터)에 대해서 간략한 소개 부탁드려요. IUC에서 진행하는 연구 프로그램은 고급 한국어 과정으로서, 저희가 흥미를 가지고 있는 분야에 대해 연구/조사를 하는 동시에 한국어를 학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강좌는 학생들이 다양한 학위 논문과 신문 기사들을 통한 연구/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학술적인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답니다. ▶성균관대학교 IUC를 선택하신 이유가 있다면? 제가 공부한 보스턴대학교의 한 교수님께서 IUC의 프로그램을 수강하셨던 분이셨고, 제게 잘 맞을 것 같다며 IUC 프로그램을 추천해 주셨어요. 이후 IUC 프로그램에 대해 더 조사해보니 제게 딱 맞는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이 들었죠. ▶성균관대학교 IUC프로그램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IUC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제가 연구하고 싶은 주제를 자유롭게 선택해 공부할 수 있다는 점과, 교수님과의 1:1 수업 기회를 통해 학습의 방향성을 잡을 수 있다는 점이에요. 원문보기: | 성대사람들 | 외국인의 성대생활 (skku.edu)
-
- 작성일 2021-10-20
- 조회수 574
- 첨부파일 (0)
-
- [방송]SBS"한국학, 한국의 골든탐임"방송, IUC 프로그램 소개 및 IUC 운영위원회 교수진 다수 출연(19.03)
- SBS에서 제작한 <한국학, 한국의 골든타임> 다큐멘터리 방송을 소개해 드립니다. 우리 IUC와 IUC 패컬티 다수가 출연해 한국학 연구의 성과과 그 한계 속에서 더 많은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힘주어 말씀하셨습니다. 한국학 연구과 고급학술어 교육의 열악한 저변에서 IUC 설립과 운영을 위해 함께 고군분투해주신 로스 킹 UBC 교수와 존 던컨 UCLA 교수, 다프나 주르 선생님을 비롯해 한국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에서 IUC를 지휘하고 운영하고 계신 황호덕 센터장 등이 출연하셨습니다. 방송에 IUC 고급학술한국어 과정의 수업 성과 및 연구실적 등이 소개되었습니다. 많은 관심과 애정 부탁드립니다.
-
- 작성일 2021-10-20
- 조회수 496
- 첨부파일 (0)
-
- [인터뷰]"K-pop has sparked interest in Korean studies, but it’s not the end: Ross King"(17.12)
- Professor Ross King who are working for Co-Chairman of IUC International Committee spoke about several critical points on Korean Studies. King said. “As of now, Korea is unrealistically putting all of its eggs in the wrong basket. … Interest (in Korean studies) has increased but targeted, strategic investment has not been made by the government to turn that interest into long-term commitments.” [Herald Interview] K-pop has sparked interest in Korean studies, but it’s not the end: Ross King By Rumy Doo K-pop may have le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among foreign students, but those seeking to study the language in higher level education still face huge obstacles, according to professor Ross King. King, a Canadian national who has been helming the Department of Asi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since 2008, says that compared to nine years ago, “the base has expanded” for Korean studies abroad. The rise of K-pop has been a contributing factor, he says. “K-pop is definitely a big motivation for students who want to learn beginner Korean,” King told The Korea Herald in an interview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Seongnam, Gyeonggi Province Friday.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cholar was attending a conference on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Ross King, professor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peaks at an interview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n Friday.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vast majority of the population at UBC seeking to study Korean are ethnically Chinese, King points out, because K-pop is so popular among Asian and Asian-Canadian students. “Korean can also be useful for career prospects if they’re going to work in Asia,” he added. Two decades ago, meanwhile, Korean studies classes consisted mainly of second-generation Korean-Canadians, or “kyopo.” “Now, they’re all gone,” King says, possibly due to greater access to Korean culture via the internet — there’s no need for kyopo to take courses to reconnect with their roots. But the challenges remain more prominent than ever for foreign students who aim to study pre-moder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King says. Unlike in the past, the issue is no longer about a lack of funding, but how the money is being used, he points out. “Ten, 15, 20 years ago … Korea was a poor developing country. Now, there’s too much money and people don’t know what to do with it,” he said. “There are plenty of talented foreign students who would love to study and translate Korean classics, but there are no graduate fellowships, no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them to come to Korea and learn Hanmun,” he said, referring to the writing system used in Korea until the 1400s that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he problem lies in the misappropriation of funds, according to King — most of the funding is oriented toward immediate results. “Money is being spent on conferences and other short-term glitzy things that can be put on an annual report, instead of training and investing in scholars in the long-term. “Most classics translations are being done by Koreans who haven’t studied classical literature or Hanmun. Instead of paying those people to translate texts, they should use that money to train good translators. They’re focusing on products, not people.” A thorough education in Hanmun, the cornerstone of Korean classics, is essential for classics scholars, King says. “You have Hanmun training workshops that last three weeks but that’s not enough.” A serious foreign student of Korean classics would need to come to Korea to study for at least a year and read texts everyday with other Korean graduate students, he said. “That’s not something you can learn anywhere else.” King, 56, who is self-taught in Hanmun, obtained his M.A. and Ph. D. degrees in linguistics at Harvard University, and has authored numerous publications with a focus on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He founded the Korean Language Village in Bemidji, Minnesota in 1999 and won the Prime Minister Award in 2000 for contributions to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ently, though job opportunities in Korean studies academia remain scarce and the competition high, they are growing, he says. “In North America, almost 10 new faculty positions are being advertised for Korean studies this year — only one in pre-modern, the rest in modern studies. It’s the biggest number in my memory for the past 20 years. Last year there were maybe only four.” In contrast, there are no fellowships or funding in the field for aspiring Korean language scholars — or even sufficient programs for undergraduates, King says. “Students who want to study abroad in Japan, China, Taiwan have access to any number of really helpful scholarships that will provide incentive for them. … For Korea, there is almost nothing.” Support for classics studies is better in China, King says. “There’s a lot of effort going into excavating texts and spending time to study and translate them.” And while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establishing and developing Korean studies departments around the world for the past 20 years, it could quickly disappear without effective government funding. Ross King, professor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peaks at an interview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n Friday. (Academy of Korean Studies) “Just to maintain a tiny portion in the world’s intellectual map, Korea is going to have to work very hard,” King said. “As of now, Korea is unrealistically putting all of its eggs in the wrong basket. … Interest (in Korean studies) has increased but targeted, strategic investment has not been made by the government to turn that interest into long-term commitments.” King calls for the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organization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all the money. All the know-how is at the Korea Foundation, but they don’t have any money. These two government organizations need to cooperate better and figure out a way for long-term investments in students.” By Rumy Doo (doo@heraldcorp.com)
-
- 작성일 2021-10-18
- 조회수 602
- 첨부파일 (0)
-
- [안내]"성균관대 총장-IUC 센터장, 호주 명문대학 방문"(16.09.27)
- 성균관대 총장- IUC 센터장, 호주 명문대학 방문 [University of Queensland] 정규상 총장, 의무부총장, 국제처장을 비롯한 우리대학 IUC 센터장, 의과대학, 바이오메디컬공학 교수진 9명이 9월 27일(화) 호주 University of Queensland(UQ)를 방문하였다.이번 방문은 지난 4월 UQ Anton Middelberg 부총장이 우리 대학을 방문한 후 후속 논의를 위하여 UQ로부터 초청을 받아 이루어졌다. 특히 이번 방문에는 연구협력이 가능한 분야로 논의된 의과대학, 바이오메디컬공학 분야의 교수진 9명이 참여하여 실질교류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가능하였다. 이 날 미팅을 통하여 두 대학은 공동연구, 학술포럼, 대학원생교류, ISS/WISE 학생파견 등의 협력을 시작으로 향후 학부 교환학생 교류까지 협력을 확대하여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특히 바이오메디컬공학학과는 Queensland Brain Institute와 Center for Advanced Imaging을 방문하여 양 교간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공동 연구가 가능한 새로운 분야를 확인함에 따라 협업에 따른 연구 성과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University of Queensland는 호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대표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QS 세계대학평가 46위이며, 특히 생명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세계 30위 이내에 손 꼽히는 명문대학이다.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제 1회 성균관대-서호주대 공동학술포럼이 9월 29일(목) 서호주대학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에는 정규상 총장, 어환 의무부총장을 비롯하여 의과대학, 바이오메디컬공학, 물리학, 동아시아학, 국어국문학, 신문방송학 분야에서 총 15명의 본교 교수진이 참여하여 UWA의 관련 교수진과 연구 현황에 대한 공유 및 향후 공동연구 협력 논의가 이루어졌다. ○ 의과대학은 유전체연구, 유방암 분야에 대한 학술포럼을 진행하여 공동연구 가능성을 모색하였고, 의학교육 분야에 대한 벤치마킹을 실시하였다. 또한 2017학년도 해외파견 Elective Program을 통하여 UWA로 의과대학 학생 파견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 바이오메디컬공학은 Expansion Microscopy와 의료기기에 대한 포럼을 실시하였고 관련 교수와의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하여 양교의 대표적인 연구 분야를 접목시킨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 협업을 진행하기로 하여 공동연구의 시너지 효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물리학 분야는 학문 단위간 학부생 및 대학원생, 교원 교류 등 전방위적인 인적교류에 대한 합의를 하였고, 이를 위한 협정을 별도로 체결하기로 하였다. 또한 Spintronics, Quantum Field Theory and Quantum Gravity 분야의 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 인문학 및 사회과학분야는 동아시아학과 석사과정 복수학위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하고, UWA 한국학 학생들의 본교 IUC(센터장 황호덕 교수) 프로그램 참여를 적극 권장할 예정이다. 또한 Aging in Korea 분야에 양교 교원으로 구성된 연구진을 구성하기로 합의하여 공동 연구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 본 학술포럼은 매년 본교와 서호주대학에서 번갈아 개최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내년에는 서호주대학 교수진이 우리 대학을 방문하여 제2차 성균관대-서호주대학 공동학술포럼이 개최될 예정이다. 서호주대학은 호주의 Group of Eight 8개 대학 중 하나인 대표적인 호주의 연구중심대학으로 QS 세계대학평가 102위를 기록하였다. 본교와는 2015년 11월 학생교류협정을 체결하여 활발한 학생교류가 이루어지고 있고(현재 4명의 학부학생 파견), 이번 포럼을 계기로 양교간 공동연구 협력에 대한 발판까지 마련됨에 따라 서호주대학과의 전략적 파트너쉽 관계가 더욱 강화되어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교류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작성일 2021-10-05
- 조회수 544
- 첨부파일 (0)
-
- [안내]"인터유니버시티 센터 성균관대" 개관(16.08)
- 해외한국학자들을 위한 고급 학술 한국어 및 한문 교육기관으로는 세계 유일 한국어로 읽고, 쓰고, 토론하는 해외한국학자 양성을 첫발 내디뎌 전세계 미래 한국학 연구자 양성의 중요한 전기가 될 “인터유니버시티센터 성균관대”가 첫걸음을 내딛었다. 성균관대학교(총장 정규상)는 한국학을 운영하는 북미 등의 주요대학들과 공동설립한 인터유니버시티센터가 2015년 7월 6일부터 특별 프로그램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UCLA, 미시건대학, UC 버클리 등으로부터 온 한국학 박사과정생 4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프로그램은 정규 고급 학술 한국어 강의와 “식민성과 고유성, 한국의 근대에 관한 입장들”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으로 7주간 운영된다. 인터유니버시티센터 성균관대는 이 대학의 동아시아학술원(원장 마인섭)이 브리티시 콜롬비아대학(캐나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 하버드대학(Harvard), 미시건대학, 펜실버니아대학, 하와이대학, 조지타운대학(이상 미국), 누에보 레온대학(멕시코) 등의 해외 동아시아학 거점 대학원과 공동으로 설립하여 운영한다. 국내외 한국학자가 서로의 연구를 읽고 함께 토론하는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 지난 15년간 전통과 국제성을 담보한 한국학의 창신을 목표로 연구와 교육을 진행해온 동아시아학술원은 인터유니버시티센터가 고급 학술 한국어 및 한문의 교육을 통해 미래 한국학자 양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국내외 한국학자의 공동 연구와 국내 연구의 해외 소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내다봤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에 내한한 학생들의 전공은 종교학, 인류학, 인문지리학, 미술사 등으로, 한국학의 흐름이 문학과 역사 중심에서 더 넓은 영역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도 주목된다. 초대 센터장을 맡은 황호덕 교수(국어국문학/동아시아학)는 “이미 반세기 전부터 일본학과 중국학이 국가와 기업의 도움을 얻어 고급 학술어 교육기관을 운영해 온 것을 상기하면 만시지탄이 없지 않지만, 이번 특별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인터유니버시티센터가 전세계 한국학의 소통과 인재의 공동 양성에 획기적 전기가 될 수 있도록 운영해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여름 특별 프로그램에는 주당 20시간의 한국어와 한문 교육 외에도, 김흥규(고전문학), 황종연(현대문학), 강관식(회화사), 송도영(인류학) 교수 등 국내 석학들의 특별 강연이 편성되었다. 황교수는 지난 몇 년간 국내외 한국학자들의 뜨거운 논쟁이 된 식민지 근대성, 근대 경험의 특권화 논쟁을 둘러싸고 국내외 연구자 간의 국적과 세대를 뛰어넘은 치열한 2차 토론이 벌어질 것이라 귀띔했다. 특별강연은 국내외 일반 연구자에게도 개방될 예정이다. ◇ 여름 프로그램 특별강연(IUC at SKKU 2015 Summer Special Lectures) 식민성과 고유성, 한국의 근대에 관한 입장들 Positions on Coloniality and Vernacularity in Modern Korea 시간: 7월 17일-8월 7일 매주 금요일 1시-3시 30분 장소: 성균관대 육백주년기념관 3층 제3세미나실 주최: Inter-University Center at SKKU(국제한국학센터), 성균관대 인문한국연구소(미정) ■ 7월17일 김흥규 교수 특강 “근대의 특권화를 넘어서 전후의 나의 생각”(가제) ■ 7월 24일 강관식 교수 특강 “‘다른 근대’, 조선 후기 궁중 화원과 회화사의 변모에 대하여”(가제) ■ 7월 31일 황종연 교수 특강 “식민성과 근대성-‘석굴암’이라는 논제를 실마리로” (가제) ■ 8월 7일 송도영 교수 특강 “서울의 문화 영토성과 다문화 소통-‘이태원 일대‘의 사례 중심으로” ◇ 영자지를 위한 용어 대조표 * 인터유니버시티센터 성균관대 여름 특별 프로그램 =IUC at SKKU 2015 Summer Pilot Program * 여름 프로그램 특별강연 =IUC at SKKU 2015 Summer Special Lectures * 식민성과 고유성, 한국의 근대에 관한 입장들 =Positions on Coloniality and Vernacularity in Modern Korea ◇ 여름 특별 프로그램 등록 현황 – 7월 6일~8월 21일(7주) 이름 원소속 전공 나다니엘 킹던 (Nathaniel Kingdon) UCLA 미술사– 한국 회화사 노라 하우크(Nora E. Hauk) 미시건 인류학– 도시 공간 프레데릭 라낼로 히긴스(Frederick M. Ranallo-Higgins) UCLA 종교학– 불교, 원불교 앨리스 윤(Elise Youn) UC버클리 지리학 – 등록 : 총4명
-
- 작성일 2021-10-05
- 조회수 571
- 첨부파일 (0)
-
- [기사]"국제교류재단-성균관대, 한국학 연구자에 장학금 주기로"(16.07.19)
-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공공외교 전문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19일 성균관대학교 국제한국학센터(IUC)와 함께 해외 한국학 연구자에게 장학금을 주기로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날 성균관대 정규상 총장, KF 이시형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균관대에서 협정식을 열어 IUC의 고급 학술 한국어 과정에 참여한 연구자 중 1년에 2명을 선발해 장학금을 주기로 했다. KF 관계자는 “이번 장학금 지원을 계기로 해외 학계에서 한국학 연구가 한층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ewglass@yna.co.kr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19/0200000000AKR20160719128400371.HTML?input=1195m
-
- 작성일 2021-10-05
- 조회수 537
- 첨부파일 (0)
-
- [안내]"성균관대 IUC-한국국제교류재단 협정"(16.07.19)
- 국외 한국학연구자의 고급학술한국어과정 장학금 전폭 지원 예정 7월 19일(화) 오전11시,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총장접견실 7월 19일 성균관대학교에서는 IUC(국제한국학센터)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 사이에 고급학술한국어과정을 이수하는 국외 한국학 연구자에 대한 장학금 지급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은 성균관대 정규상 총장과 IUC 북미위원회 공동대표 존 던컨 교수(UCLA),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시형 이사장 등이 배석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은 IUC 고급학술한국어과정에 참여한 연구자 중, 한 해 두 명을 선발하여 1년 동안의 등록금과 기숙사비 전액을 비롯해 생활비까지를 전폭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장학금 지원 대상은 IUC 회원교 1명과 유럽대학의 비회원교 1명이며, 이들에게는 각각 연간 3,500만원에서 4,500만원 상당의 지원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협정은 우선적으로 2019년 봄학기까지 3년동안 발효된다. 연간 8,000만원 상당의 지원을 결정한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시형 이사장은 이번 협정을 통해 “IUC를 거점으로 국외 한국학연구의 새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성균관대 정규상 총장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을 통해 IUC 과정에 참여하는 국외 한국학연구자의 연구 환경 개선과 연구 활력 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환영한다는 뜻을 전했다. 인터유니버시티센터(IUC)는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원장 마인섭)에서 운영하는 미래 한국학 연구의 전초기지로, 지난해 5월 북미와 유럽 주요 대학과 공동설립, 2015년 여름부터 개관해 운영되고 있다. IUC는 현재 성균관대학교에서 봄, 가을 정규과정과 여름 집중과정을 통해 국외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고급학술한국어를 가르친다. 과정에 참여한 연구자들에게는 주당 20시간의 고급학술한국어 및 한자/한문 교육은 물론, 고문헌을 비롯한 한국학 연구 대상에 대한 자료 수집 및 해석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이뤄진다. 뿐만 아니라 매 학기 당대 한국학의 선두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인문사회학자들을 초청해 특강 수업도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여름집중과정에서는 미국 워싱턴대학의 조희경 교수와 미국 남가주 대학의 박선영 교수를 비롯해 대전대 도면회 교수, 한양대 임지현 교수 등을 초청해 한국학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이미 지난 1년 동안 10여명의 국외 박사과정생 및 연구자들이 IUC의 고급학술한국어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성균관대학교를 찾았다. UCLA, 미시건, 버클리, 존스홉킨스, 하버드, 예일 등에서 찾아온 한국학 연구의 신진 학자들이 고급학술한국어 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한국학연구를 발전시킨 뒤 귀국하였다. * 인터유니버시티센터 성균관대(한국명: 국제한국학센터)는 이 대학의 동아시아학술원(원장 마인섭)이 브리티시 콜롬비아대학(캐나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 하버드대학(Harvard), 미시건대학, 펜실버니아대학, 하와이대학, 조지타운대학(이상 미국), 누에보 레온대학(멕시코) 등의 해외 동아시아학 거점 대학원과 공동으로 설립하여 운영한다. 일본이나 중국에서 이미 60년 전에 시작된 고급 학술어 교육을 한국학에서도 시작했다는 의미에서 세계 한국학의 발전에 있어 적잖은 의의를 지닌다.
-
- 작성일 2021-10-05
- 조회수 475
- 첨부파일 (0)
-
- [기사]“한국 알고 싶고 알리고 싶어요”… 벽안의 학생들 공부 삼매경(한국일보)(15.08.16)
- [오늘의 한국 & 한국인] 인터유니버시티센터 1호 입학생들 성균관대 6월 해외 대학원생 대상 역사 문화 사회 등 망라 맞춤교육 하버드·UCLA 등서 교환학생 보내 전담교수 10여명과 토론·탐구 미래의 한국학 연구자를 꿈꾸는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인터유니버시티센터(IUC) 1기 입학생들이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 청운문학도서관 세미나실에서 한국 문화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이들은 양반다리를 불편해하면서도 “한옥의 아름다움에 반해 떠나고 싶지 않다”고 했다. ‘겐지이야기’와 ‘홍루몽’은 일본과 중국의 고전이지만 지금은 세계인이 즐겨 읽는 필독서다. 그 뒤에는 두 책을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게 소개한 서양의 학자와 지식인들이 있다. 늦었지만 미래에 한국을 세계무대에 알릴 주인공들을 교육하는 전문기관이 있다. 한국을 공부하고 싶은 해외 대학원생들에게 한국학을 맞춤 교육하는 성균관대 인터유니버시티센터(IUC)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UCLA)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나다니엘 킹던(33)의 전공은 ‘한국 회화사’다. 11년 전 경기 가평의 한 중학교에서 영어 강사로 일하던 그는 우연히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김환기(1913~74)의 그림을 보고 한국 회화에 푹 빠졌다. 이후 그림 감상을 위해 주말이면 서울로 올라와 삼청동과 인사동 갤러리를 훑었고 2011년 아예 UCLA에 입학해 ‘조선 궁중 미술’을 전공으로 삼았다. 미국 여성 노라 하우크(34ㆍ미시건대 인류학)도 한국의 매력에 흠뻑 젖어 있다. 노라는 “어머니 친구가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2004년 무작정 한국을 찾아 여러 시대 건축이 뒤엉킨 서울의 모습에 감동을 느껴 도시와 건물을 공부하고 있다. 15일 만난 노라는 “서울은 조선시대부터 일제 강점기, 개발 시대와 세련된 최신 카페가 함께 존재하는 역사의 파노라마 현장”이라고 말했다. 벽안(碧眼)의 두 외국인 학생은 성균관대가 올해 6월 설립한 IUC의 ‘1호 입학생’ 이란 공통점을 갖고 있다. IUC는 미래 한국학 교수를 양성하기 위해 해외 대학원생들에게 학술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 문화 사회 등을 집중 교육하는 기관이다. 성균관대와 협약을 맺은 하버드, UCLA 등 미국 유수 대학들이 교환 학생을 보내고 IUC가 전담해 가르친다. 나다니엘과 노라 외에도 각각 불교와 지리학을 전공한 프레데릭 히긴스(46)와 앨리스 윤(36ㆍ여)이 공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의 경제 규모에 비해 한국을 알리고 연구하는 한국학 보급에 소홀했다는 게 학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이웃 일본은 1961년 일찌감치 미 스탠퍼드대와 공동으로 학술 일본어 교육기관(IUP)을 설립해 일본 전문가 양성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중국도 1963년 베이징(北京) 칭화대에 관련 기관을 만들어 중국을 알고 싶어 하는 외국 학생들을 흡수하고 있다. IUC 입학생들의 성과는 한국 전문가를 집중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왜 필요한지를 잘 보여준다. 이 곳에서 수학한 외국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은 깊고 다양하다. 노라는 서울 종로구 서촌을 대상으로 마을이 발전하면 임대료가 치솟아 주민들이 쫓겨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심취해 있다. 앨리스는 한국의 귀농ㆍ귀촌 문화를 조사하고, 프레데릭은 원불교에 대한 논문을 준비 중이다. 그는 5년간 탈속(脫俗)해 전남 영광의 한 사찰에서 승려로 지내며 연구 완성도를 높이는 데 힘을 쏟기도 했다. 물론 한국학 연구가 학생들의 의지만 갖고 되는 것은 아니다. 낯선 언어와 환경은 장애물일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IUC는 동아시아학, 인류학 등 전담 교수 10여명을 두고 전공에 따른 맞춤형 자문을 하고 있다. 매주 월~목요일 하루 5시간 한국의 소설, 철학, 사회학 등 인문 과목을 집중 수강하고 금요일에는 한국 석학들의 특별 강좌를 듣는다. 나다니엘은 “18세기 조선 미술을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있는데, 옛날 사회구조와 한문 등 어려운 부분이 많아 교수님들의 조언이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이들은 장차 한국학을 가르치는 교수나 전문 연구자를 꿈꾸고 있다. 노라는 연세대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조한혜정 교수처럼 한국 근대사회와 자본주의에 천착한 전문가가 되기를 희망한다. 노라는 “처음 서촌에서 홈스테이를 했을 때 늦은 밤에도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과 요리를 해 주던 주인 아주머니의 정을 잊지 못한다”며 “전 세계적으로 자본주의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따뜻함이 존재하는 한국 사회의 장점을 널리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지용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원문보기: http://www.hankookilbo.com/m/v/2a1b3b1d06b0441395af8c9fb0762420
-
- 작성일 2021-10-05
- 조회수 0
- 첨부파일 (0)
-
- [기사]中·日은 50년 앞서 자국 학문 알리는데…한국학 지원 ‘뒤늦은 시동'(한경,14.04.10)
- 성대, 하버드 등 5개 대학과 한국학 전문기관 ‘IUC‘ 설립 美·유럽 등 16개 대학 참여…’지한파’ 외국 학자·학생 양성 [ 홍선표 기자 ] “한자로 가득한 논문을 보고 눈앞이 깜깜했죠. 외국 유학생 중에는 어려운 한국말 때문에 한국학 공부를 그만둔 친구들이 많아요.”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한국 정치학을 전공하는 인도 유학생 라지브 구마르 씨(29). 2008년 한국에 와 대학원에 입학하기 전 1년간 어학당을 다니며 한국어를 공부했다. 그러나 강의에서 쓰이는 한자 단어와 학술 용어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그는 “박사 논문을 쓰고 있는 지금도 한국어 텍스트를 보는 게 힘에 부친다”고 말했다. 오는 9월부터 구마르 씨 같은 외국인 학생·학자들이 좀 더 쉽게 한국학을 공부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이 미국 하버드대, 캘리포니아주립대 등 북미 5개 대학과 공동으로 학술 한국어 및 한문 교육기관인 ‘인터유니버시티센터’(IUC)를 설립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참가 의사를 밝힌 대학들을 포함해 북미와 유럽, 남미 등의 16개 대학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생 및 학자들이 IUC에서 교육을 받는다. 일본과 중국은 이미 50년 전부터 이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일본 정부는 1961년 미국 스탠퍼드대와 함께 요코하마 인터 유니버시티 프로그램(IUP)을 만들었다. 그동안 요코하마 IUP를 거쳐간 이들만 1750여명에 달하며, 지금도 매년 하버드대와 예일대 등 미국 15개 대학에서 50여명의 학자가 교육을 받고 있다. 중국에선 1963년부터 칭화대가 IUC를 담당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은 이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자국에 우호적인 학자들을 양성하고, 동아시아학을 주도할 수 있었다. 성균관대가 설립하는 IUC 프로그램의 주된 교육 대상은 석·박사 과정의 학생들과 신진 학자들이다. 교육은 1년 과정, 4개월 과정, 여름방학 과정 등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커리큘럼에 따라 학술 한국어와 한국어 논문 독해, 한자 교육 등의 수업을 듣는다. 성균관대는 첫해에 수강생 10여명으로 시작해 20여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해외의 한국학 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이 처음은 아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AKS)은 매년 여름방학 때 해외 대학생 30여명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한국학을 소개하고 있다. AKS 펠로십을 통해 해외 한국학 학자들의 국내 연구활동도 지원한다. 하지만 이들 사업만으로 한국 문헌을 한국어로 읽고 한국어를 자유자재로 말할 수 있는 외국 학자를 길러내기에는 부족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IUC 설립 추진단 공동 대표인 로스 킹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동아시아학과장은 “그동안 한국학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어학 프로그램이 부족했다”며 “한국어로 읽고 토론하고 글 쓰는 해외 한국 학자들이 늘어나면 그만큼 한국학도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문 보기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41083091
-
- 작성일 2021-10-05
- 조회수 0
- 첨부파일 (0)